![]() |
이스타항공이 회생계획안 제출 연기를 신청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업계 일부에서는 인수를 결심한 '성정'의 자금문제 의혹을 제기했지만 이스타항공 측은 "정확한 채권액을 확정하기 위해서일 뿐"이라고 확대 해석에 선을 그었다. /사진=뉴스1 |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 공동관리인은 지난 14일 서울회생법원에 이달 20일로 예정된 회생계획안 제출기한의 추가 연장을 요청했다. 앞서 지난 5월에도 인수 우선협상자 선정을 위해 회생계획안 제출기한을 2개월 연장 요청했고 법원의 승인을 받았다.
이번 연장 신청은 전산시스템 복구 등 물리적인 시간이 필요해서다. 정확안 채권 규모를 확정해야 그에 맞춰 회생계획안 작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스타항공에 따르면 그동안 채권자가 신고한 내용을 계속 시부인해 이미 상당부분 채권액을 확정한 상태다. 다만 내부 전산망(미국 본사소재 AWS시스템)이 사용료 미납으로 불통상태여서 전산을 재개한 이후 해당 시스템에 담긴 내용을 살펴야 한다. 불명상태 채권을 정확히 한 뒤 채무상환계획 등을 공정히 하기 위함이라는 설명이다.
정재섭 이스타항공 공동관리인은 "이미 회생법원에 회생계획 초안을 제출한 상태"라며 "해당 초안에는 회생계획의 주요사항까지 모두 포함됐고 가장 중요한 채무액중 일부가 아직 미확정 혹은 추정상태로 있어 초안을 검토한 법원은 이를 정확히 반영하라고 지시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 지시내용을 반영하려면 현재도 진행중인 일부 재판결과를 모두 반영해야 하는 데다 채권자의 주장이 맞는지 확인이 필요한 사항이 있다"며 "따라서 이를 완벽히 수행하려면 사내 전산확인 등을 통해 확실한 채권채무 내용을 대사, 확정을 통해야만 가능하기에 일정 시간이 필요해 이번 연장을 요청하게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스타항공의 회생절차는 계속 진행 중이다. 운항증명 재발급 작업을 진행 중이며 서울 발산역 인근 사무실을 임차해 인테리어 공사도 진행 중이다.
정 관리인은 "이 같은 진행이 가능하게 된 것은 성정으로부터 자금지원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며 "성정은 인수절차를 차질없이 수행해 이스타항공을 조기에 정상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